* Responsive Web ( 반응형 웹 )
- 웹 사이트가 출력되는 장비( 스크린 크기 ) 에 반응해 구조가 달라지는 페이지 구성 기법
- Media Query ( 특정 사이즈에 적용될 css를 구현 )를 통해 반응형 웹을 구현
- Bootstrap5 라이브러리로 구현 가능
bootstrap : display:flex + Media Query 쉽게 반응형 웹을 만들 수 있는 라이브러리
( 사용 목적 )
1> Prebuilt Component - 디자인 여력이 부족한 경우 미리 만들어져 제공되는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최소한의 세련됨을 보장받을 수 있음
2> Responsive Grid System - 반응형 웹 구현 기술
Content Delivery Network ( CDN 방식 )
gird의 기본 골격
container - row - col
> row는 기본적으로 12칸이 만들어짐
6칸씩 차지하는 상태
<div class="container">
<div class="row">
<div class="col-6">DDD</div>
<div class="col-6">AAA</div>
</div>
</div>
col-3
xs 부터 3칸을 차지한다는 의미
col-sm-4
sm 부터 4칸을 차지한다는 의미
<div class="container">
<div class="row">
<div class="col-3 col-sm-9">DDD</div>
<!-- xs부터 3칸으로 유지 -->
<!-- sm부터 9칸으로 유지 -->
<div class="col-9 col-sm-3">AAA</div>
<!-- sm부터 3칸으로 유지 -->
</div>
</div>
브라우저 크기가 작아지면 각 컬럼이 가득 차게 하기 위해, 작은 화면에서는 각 컬럼에 col-12클래스를 지정하여
전체 너비를 차지하록 함. > 작은 화면에서는 모든 컬럼이 세로로 쌓이게 됨
<div class="container">
<div class="row">
<!-- 브라우저 화면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col이 커질 수록 좋음 -->
<div class="col-12 col-sm-6 col-md-4">abc</div>
<div class="col-12 col-sm-6 col-md-4">DDD</div>
<div class="col-12 col-sm-6 col-md-4">AAA</div>
</div>
</div>
> 각 컬럼의 너비를 지정하는 클래스
col-12: xs 일때 12개의 컬럼을 차지하도록 함
col-sm-6 : sm 에서는 6개의 컬럼을 차지하도록 함
col-md-4 : md에서는 4개의 컬럼을 차지하도록 함
* g-0
: 그리드의 열들 사이에 간격이 없어져서 서로 붙어있는 형태로 배치
'2024_풀스택학원 > Front-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slice,splice / 객체 만드는 3가지 방법 / api (0) | 2024.05.10 |
---|---|
[JavaScript] alert, confirm, prompt (0) | 2024.05.08 |
[HTML/CSS] Transform 속성과 예제 (0) | 2024.03.21 |
[HTML/CSS] overflow-x, overflow-y / position 속성 (0) | 2024.03.20 |
[HTML/CSS]Float로 기본 레이아웃 만들기(예제) (0) | 2024.03.18 |